나가라 일터로! 나에게는 빚이 있다! <br /> <br />추억의 표어 중에 이런 말이 있죠. <br /> <br />추억이 아니라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가계 빚은 GDP와 비교해서 104.3%로 집계됐는데요, <br /> <br />세계 1위입니다. <br /> <br />기업대출도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때문에, 뭐 때문에, 이런저런 이유로 빚을 냈는데요, <br /> <br />매출이 잘 나오면 걱정할 게 없는데, 요즘 경제가 너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급기야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, 무려 5만 개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부실대출 우려가 커지는 상황, 류환홍 기자의 설명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특히 급증한 기업대출의 대다수는 소상공인을 포함한 중소기업 대출인데, 중소기업 대출의 30%가량이 부실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에 제출한 금융감독원 자료를 보면 5대 시중은행 중소기업 대출 215조 원의 27%인 58조 원이 부실 우려 대출로 분류됐습니다. <br /> <br />업체 수를 기준으로 하면 5만여 곳이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고 있고, 이런 한계 기업 1곳당 평균 대출액이 10억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금리가 오르는 추세라 한계 기업의 이자 부담도 커지고 있단 점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그나마 만기 연장이나 이자 상환 유예와 같은 정부 지원으로 버티고 있는데 문제는 앞으로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9월까지 연장된 정부의 금융지원 조치가 끝나면 한계 기업의 대출 부실이 현실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기업의 대출 증가속도는 세계 2위고, 5대 은행에서 올해에만 32조가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빚을 많이 낸 기업들의 책임도 있지만, <br /> <br />가계대출을 더 늘릴 수 없으니 기업 쪽으로 영업을 강화한 시중은행들의 책임도 없다고는 말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어디 그뿐입니까. <br /> <br />물가도 너무 오릅니다. <br /> <br />서울신문, 직장인들의 점심값이 2배나 뛰었다. '런치플레이션'이다. <br /> <br />중앙일보, 남성 커트값이 2만 원이다. <br /> <br />동아일보, 국수 33%, 식용류 23%. <br /> <br />10년 4개월 만에 최대 상승이다. <br /> <br />휘발윳값도 10년 만에 2,030원을 넘어섰거든요? <br /> <br />오른 품목을 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듭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5.4%나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8년 8월 이후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었죠. <br /> <br />장보기 진짜 무섭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들의 이야기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조세희 / 서울 가양동 : 장 한번 보면 이전보다는 20%가량... (중략)<br /><br />YTN 안보라 (anbor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60708395630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